홈 > 의약정보 > 안전성정보

의약정보

작성자
김광준
등록일
2018.06.12
조회
3158

[허가사항 변경지시] 아리피프라졸_단일제(정제)

글 상세보기
첨부파일

원내 사용의약품

아빌리파이 정 15mg [MABIL ( 원내 / 원외 )],  아빌리파이 정 10mg [MABIL10 ( 원내 / 원외 )]

아빌리파이 정 2mg [MABIL2 ( 원내 / 원외 )], 아빌리파이 정 5mg [AB [MABIL5 ( 원내 / 원외 )]

아빌리파이 오디 정 10mg [MABOD10 ( 원외 )], 아빌리파이 오디 정 15mg [MABOD15 ( 원외 )]

아리피졸 정 5mg [MARIP1 ( 원내 / 원외 )] , 아리피졸 정 10mg [MARIP2 ( 원내 / 원외 )], 아리피졸 정 15mg [MARIP3( 원내 / 원외 )]

구분

기 허가사항

변경사항

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1) 자살성향 및 항우울제

( 생략 )

상당기간 동안 항우울제가 치료 초기에 , 특정환자에게 자살성향의 발생이나 우울증의 악화에 기여할 소지가 있다는 염려가 있었습니다 . , 주요우울증 및 기타의 정신 질환을 가진 소아 , 청소년 및 젊은 성인 (18 24 ) 에 대한 항우울제의 단기 위약대조 임상시험을 종합 분석한 결과 , 항우울 제 (SSRI 및 기타 ) 가 위약에 비해 자살 충동 과 행동 ( 자살 성향 ) 의 위험도를 증가시킴이 나타났습니다 .

( 생략 )

주요우울장애 뿐 아니라 정신질환 및 비정신질환성 적응증으로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성인과 소아 환자에게 , 근심 , 동요 , 공황발작 , 불면 , 과민성 < 추가 > , 적개심 , 공격성 , 충동 , 정좌불능 ( 정신운동성 안절부절 ( )) , 경조증 및 조증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증상들의 발생과 , 우울 의 악화 및 자살 충동과의 연관성은 확립되지 않았지만 , 자살성향 발생의 전조증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

( 생략 )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 주요우울장애 , 정신질환 혹은 비정신질환 ) 환자의 가족 및 보호자들은 , 초조 , 흥분 , 행동의 이상 변화 , 상기 증상 및 자살성향에 대하여 , 면밀히 관찰하고 , 발견 즉시 의료인에게 보고해야만 합니다 . 가족과 보호자는 매일 이같은 관찰을 해야 하고 , 과량 투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이 약은 최소량부터 처방되어져야 합니다 .

( 생략 )

2)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이 약을 포함한 항정신병약의 투여와 관련하여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MS) 이라는 치명적일 수 있는 증상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 약 치료 시 소수의 NMS 가 전세계에 걸친 시판 전 임상에서 발생했습니다 . NMS 의 임상증상은 고초열 (hyperpyrexia), 근강직 (muscle rigidity), 정신 상태 변화 및 자율신경 불안정의 증거 ( 불규칙한 맥박 또는 혈압 , 빈맥 , 발한 및 심부정맥 ) 입니다 . 추가로 creatine phosphokinase 상승 , 미오글로빈뇨 ( 횡문근 융해 ) 및 급성 신부전 등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생략 )

NMS 발생시에는

(1) 항정신병약과 치료에 필수적이지 않은 다른 약물의 투여를 즉각적으로 중지하고 ,

(2) 강도 높은 대증치료 및 의학적 모니터링을 실시하며 ,

(3) 병발한 중대한 의학적 문제 중 특별한 치료법이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해당치료를 실시해야 합니다 . 병발증이 없는 NMS 에 대한 약물요법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 생략 )

 

3) 지연성 운동장애 (Tardive Dyskinesia)

항정신병약으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잠재적으로 비가역적 , 비자발적인 , 이상운동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증후군은 고령자 , 특히 여성 고령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 어떠한 환자에서 이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이환율에 의존하여 항정신병약 투여 초기에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지연성 운동장애 유발 가능성에 있어서 항정신병약 제품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지연성 운동장애 발생 위험 및 비가역적이 될 가능성은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및 해당환자에 투여한 항정신병약의 총 누적용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그러나 , 그 빈도는 더 낮지만 , 낮은 용량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을 투여 후에도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항정신병약의 투여를 중지하면 증후군은 일부 또는 전부 완화될 수도 있지만 지연성 운동장애 환자에 대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그러나 항정신병치료 자체가 증후군의 증상 및 징후를 억제 ( 또는 부분 억제 ) 할 수도 있으므로 이로 인해 근원적인 진행을 감춰버릴 수도 있습니다 . 증상억제가 증후군의 장기 진행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 이 약은 지연성 운동장애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처방되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만성 항정신병 치료는 (1) 항정신병 약제에 반응 한다고 알려져 있고 (2) 만성 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 중 , 잠재적 유해성이 더 적은 동등한 효과의 대체약물이 없거나 부적절한 환자에 대해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 장기투여가 필요한 환자에서는 , 만족할만한 임상반응을 가져올 수 있는 최저용량과 최단투여기간으로 투여해야 합니다 . 지속적으로 투여해야 할 지에 대한 필요성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해야 합니다 .

 

이 약 투여 환자에서 지연성 운동장애 의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나면 , 약물 투여 중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그러나 , 어떤 환자에서는 이러한 증후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약 투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4) 치매성 노인 정신질환 환자에서의 뇌졸중을 포함한 뇌혈관계 사고

( 생략 )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정신질환을 겪는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 위약대조 10 주간의 아리피프라졸 임상시험 3 건에서 (n=938, 평균연령 : 82.4 , 연령대 : 56 99), 위약 군에 비해 아리피프라졸 군에서의 발생률이 2 배 이상이고 , 그 발생률이 3% 이상인 , 투여 후 발생한 이상반응은 , 기면 (lethargy)( 위약 2%, 아리피프라졸 5%), 졸림 (somnolence)( 진정 포함 )( 위약 3%, 아리피프라졸 8%), 실금 ( 주로 뇨실금 )( 위약 1%, 아리피프라졸 5%), 과도한 침분비 < 추가 > ( 위약 0%, 아리피프라졸 4%), 어지러움 (lightheadedness)( 위약 1%, 아리피프라졸 4%) 이 있었습니다 .

 

 

 

치매를 동반한 정신질환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 만약 이러한 환자에게 이 약이 처방될 경우에는 , 특별히 우발적인 상해나 흡인으로 이어지기 쉬운 연하곤란 및 과도한 졸음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5) 고혈당증 및 당뇨

비정형 항정신병약을 투여한 환자에 대하여 케톤산증이나 고삼투압 혼수 또는 사망이 연관된 고혈당증이 몇 례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게서는 고혈당증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었습니다 . 이 약 투여 환자의 수가 적었지만 단지 이렇게 보다 제한적인 사용 경험으로 인해 보고된 수가 적은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 비정형 항정신병약의 사용과 혈당 이상 간의 관계는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당뇨병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과 일반인에게서 당뇨병 발병이 증가할 가능성으로 인해 평가가 어렵습니다 .

( 생략 )

그러나 이 약이 포함되지 않은 역학연구에서 , 이 연구에 포함된 비정형 항정신병약을 투여한 환자에게 투여 이후 발생한 고혈당 관련 이상반응의 증가가 있었습니다 .

( 생략 )

비정형 항정신병약을 투여할 경우 , 다음증 , 다뇨증 , 다식증 , 쇠약과 같은 고혈당 징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 비정형 항정신병약 투여를 시작한 당뇨병 확진을 받았거나 당뇨병 위험소인을 가진 환자는 혈당조절이 악화되는지를 정기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 비정형 항정신병약으로 치료 도중 고혈당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공복 시 혈당 측정을 실시해야 합니다 . 몇몇의 경우 , 고혈당증은 비정형 항정신병약을 중단하고 사라졌으나 몇 명의 환자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약물을 중단한 이후에도 항당뇨병 치료를 계속해야 했습니다 .

 

6) 정맥혈전증 위험 : 항정신병 의약품 사용 시 정맥혈전증 (VTE) 이 보고된 예가 있습니다 . 항정신병 의약품을 투여 받은 환자들에서 정맥혈전증 위험성이 종종 나타남에 따라 이 약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하는 중에 정맥혈전증 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위험 요인을 확인해야 하며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2. 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은 이 약물에 과민증이 있다고 알려진 환자에는 금기입니다 . 반응은 소양증 및 두드러기로부터 과민반응까지 다양합니다 .

( 생략 )

 

3. 다음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기립성 저혈압

이 약은 alpha1-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작용에 의해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성인에 대한 경구용 아리피프라졸의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 (n=2,467) 에서 , 기립성 저혈압과 관련된 부작용은 ( 아리피프라졸군 발생률 , 위약군 발생률 ) 기립성 저혈압 (1%, 0.3%), 체위성 어지러움 (0.5%, 0.3%), 실신 (0.5%, 0.4%) 이었습니다 . 6 세에서 17 세 연령범위의 소아에서는 (n=611), 기립성저혈압 (0.5%, 0%), 체위성 어지러움 (0.3%, 0%), 실신 (0.2%, 0%) 이 있었습니다 .

이 약 투여시 , 유의한 기립성 혈압변화 ( 누운 자세와 선 자세를 비교하였을 때 심박수가 25 < 추가 > 이상 증가하고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 ) 의 발생률은 ( 아리피프라졸 발생률 , 위약 발생률 ) 이 약을 경구 복용하는 성인 환자에서 4% 2%, 6 17 세의 소아환자에서 0.2% 1% , 위약과 비교 시 의미 있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

이 약은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 ( 심근 경색 또는 허혈성 심질환 기왕력 , 심부전이나 심전도 이상 ), 뇌혈관 질환 또는 저혈압을 일으키기 쉬운 상태 ( 탈수 , 순환혈액량 감소 및 고혈압 약제 복용 ) 의 환자에서는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

( 생략 )

 

3) 인식력과 운동수행력의 장애 가능성

( 생략 )

 

6) 자살

정신질환과 양극성장애 및 주요우울장애는 자살 기도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고위험 환자에 대해 약물 치료시 철저히 감독하여야 합니다 .

( 생략 )

 

4. 이상반응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 가장 흔하게 (10% 이상 ) 나타난 이상반응은 구역 , 구토 , 변비 , 두통 , 어지러움 , 정좌불능 , 불안 , 불면 , 안절부절 ( ) 이었습니다 .

( 생략 )

 

1)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1) 성인 정신분열병 환자다음의 소견은 아리피프라졸을 1 2 30mg 의 용량범위에서 투여한 5 건의 위약대조 임상시험 (4 건의 4 주 및 1 건의 6 주 임상시험 ) 을 종합하여 근거로 한 것입니다 . 투약 중지를 일으킨 이상반응전체적으로 , 아리피프라졸 투여군 (7%) 과 위약 투여군 (9%) 의 환자들 간에 이상반응으로 인해 투약을 중지한 빈도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 투약중지로 이어진 이상반응의 종류는 두 시험군 간에 유사했습니다 .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 EDMD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5% 이상이고 , 위약군보다 두배 이상 발생한 유일한 이상반응은 정좌불능이었습니다 ( 아리피프라졸 8%, 위약 4%).

 

 

 

 

 

 

(2) 성인 양극성 조증 환자 - 단독요법다음의 소견은 아리피프라졸을 1 15 또는 30mg 용량으로 투여하여 3 주간의 위약대조 양극성 장애 임상시험을 근거로 한 것입니다 .

 

( 생략 )

1. 양극성 조증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N=917)

위약

(N=753)

정좌불능

13

4

진정

8

3

떨림

6

3

안절부절 ( )

6

3

추체외로장애

5

2

 

( 생략 )

단독요법으로 리튬이나 발프로산에 이미 내성이 있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 이상반응에 의한 투약 중지 비율은 위약을 투여한 환자는 6%, 보조요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투여한 환자는 12% 이었습니다 . 아리피프라졸 보조요법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 간의 비교에서 투약 중지와 연관되어 가장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은 정좌불능 ( 각각 5%, 1%) 과 떨림 ( 각각 2%, 1%) 이었습니다 .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리튬이나 발프로산의 보조요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투여한 양극성 조증 환자와 연관되어 흔하게 (5% 이상 , 위약군보다 아리피프라졸군에서 2 배 이상 ) 발생한 이상반응은 정좌불능 , 불면증 , 추체외로장애 이었습니다 .

( 생략 )

 

(4) 성인 주요우울장애 환자 부가요법

( 생략 )

주요우울장애에서 흔하게 (5% 이상 , 위약군보다 아리피프라졸군에서 2 배 이상 ) 발생한 이상반응은 정좌불능 , 안절부절 ( ), 불면 , 변비 , 피로 , 시력불선명 이 있었습니다 .

 

(5) 성인에서 덜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 생략 )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N = 1,843)

위약

(N = 1,166)

시력불선명

3

1

위장관계

구역

15

11

구토

11

6

변비

11

7

소화불량

9

7

구강건조

5

4

복부불쾌감

3

2

위장불쾌감

3

2

치통

4

3

전신

피로

6

4

통증

3

2

근골격계

상하지통증

4

2

근골격계 경직

4

3

근육통

2

1

근연축

2

1

신경계

두통

27

23

어지러움

10

7

정좌불능

10

4

진정

7

4

추체외로장애

5

3

떨림

5

3

졸림

5

3

정신계

초조

19

17

불면

18

13

불안

17

13

안절부절 ( )

5

3

흉부호흡기계

인후통

3

2

기침

3

2

2. 단기간 위약대조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2%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하게 또는 덜 발생한 다음의 이상반응은 제외 )

( 생략 )

 

< 추가 > 양극성 조증 보조요법

( 생략 )

 

3. 양극성 장애 환자의 단기간 , 위약대조 , 아리피프라졸 보조요법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

리튬 또는 발프로산

(n=253)

위약 +

리튬 또는 발프로산

(n=130)

위장관계

구역

8

5

구토

4

0

침 과다분비

4

2

구강건조

2

1

감염

비인두염

3

2

검사

체중 증가

2

1

신경계

정좌불능

19

5

떨림

9

6

추체외로 장애

5

1

어지러움

4

1

진정

4

2

정신계

불면증

8

4

불안

4

1

안절부절 ( )

2

1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2%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 하거나 적게 발생한 다음의 이상반응은 제외 )

 

< 추가 > 주요우울장애 부가요법

( 생략 )

 

4. 주요우울장애에 대한 단기간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 ADT (N=371)

위약 + ADT

(N=366)

시력불선명

6

1

위장관계

변비

5

2

전신

피로

8

4

신경과민

3

1

감염

상기도감염

6

4

검사

체중증가

3

2

대사 및 영양

식욕증가

3

2

근골격계

관절통

4

3

근육통

3

1

신경계

정좌불능

25

4

졸림

6

4

떨림

5

4

진정

4

2

어지러움

4

2

주의력장애

3

1

추체외로장애

2

0

정신계

안절부절 ( )

12

2

불면

8

2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2%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하거나 적게 발생한 다음의 이상반응은 제외 )

( 생략 )

 

5. 소아 (10-17 ) 양극성 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아리피프라졸 (N=197)

위약 (n=97)

졸림

23

3

추체외로장애

20

3

피로

11

4

구역

11

4

정좌불능

10

2

시력불선명

8

0

침과다분비

6

0

어지러움

5

1

 

6. 소아 (6-17 ) 자폐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아리피프라졸 (N=212)

위약 (n=101)

진정

21

4

피로

17

2

구토

14

7

졸림

10

4

떨림

10

0

발열

9

1

침 흘림

9

0

식욕 감소

7

2

침과다분비

6

1

추체외로 장애

6

0

기면

5

0

(9) 소아에서 덜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6-17 )

정신분열병 , 양극성 조증 , 혹은 자폐장애 < 추가 >

 

( 생략 )

7. 소아 (6-17 )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N=611)

위약 (N=298)

시력불선명

3

0

위장관계

구토

9

7

구역

8

4

설사

5

3

침과다분비

4

1

상복부통

3

2

변비

3

2

전신

구강건조

1

0

피로

10

2

발열

5

1

갈증

1

0

과민성

1

0

감염

비인두염

6

3

검사

체중증가

2

1

대사 및 영양

식욕 증가

7

3

식욕 감소

4

2

근골격계

관절통

1

0

근골격계 경직

1

0

신경계

졸림

16

4

추체외로장애

14

2

두통

13

12

정좌불능

6

1

진정

8

1

떨림

6

1

침흘림

4

0

어지러움

3

1

기면

2

0

근육긴장이상

1

0

운동장애

1

0

수면과다

1

0

생식기계

월경통 *

2

1

호흡기계

콧물

2

1

피부 및 피하조직

발진

2

1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 하거나 적게 발생한 다음의 이상반응은 제외 )

( 생략 )

 

9. 소아 (6-18 )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N=32)

위약

(N=28)

신경계

진정

13

11

추체외로장애

9

4

두통

9

4

졸림

9

0

운동감소증

3

0

구음장애

3

0

지각이상

3

0

위장관계

구역

13

0

정신계

안절부절 ( )

3

0

대사 및 영양

식욕 감소

6

0

식욕 증가

3

0

검사

심전도 QT 연장

6

0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 하거나 적게 발생한 다음의 이상반응은 제외 )

 

(12) 용량 관련 이상반응

( 생략 )

 

양극성장애

소아 양극성장애 조증 환자 (10-17 ) 에 대한 , 4 주간의 임상시험에서 , 용량 - 반응 상관관계 가능성이 있는 , 흔한 이상반응 4 건은 추체외로장애 ( 위약 , 3.1% ; 10mg, 12.2% ; 30mg, 27.3%); 졸림 ( 위약 , 3.1% ; 10mg, 19.4% ; 30mg, 26.3%); 정좌불능 ( 위약 , 2.1% ; 10mg, 8.2% ; 30mg 11.1%) ; 침과다분비 ( 위약 , 0% ; 10mg, 3.1% ; 30mg, 8.1%) 이었습니다 .

 

( 생략 )

 

(13) 추체외로 증상 (EPS)

 

정신분열병

정신분열병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정좌불능 으로 보고된 것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은 ,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13%, 위약 투여군에서 12%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 과 관련된 이상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8%, 위약 투여군에서 4% 발생하였습니다 .

 

소아 (13-17 ) 정신분열병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 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은 , 아리피프라졸을 투여군에서 25%, 위약 투여군에서 7%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 과 관련된 것으로는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9%, 위약 투여군에서 6% 발생하였습니다 .

 

Simpson Angus Rating Scale(EPS 에 대한 것 ), Barnes Akathisia Scale( 정좌불능 에 대한 것 ) Assessments of Involuntary Movement Scales( 운동장애 에 대한 것 ) 관련하여 , 이들 임상시험으로부터 객관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습니다 . 정신분열병에 대한 성인 임상시험에서 객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Barnes Akathisia Scale( 아리피프라졸 : 0.08, 위약 : -0.05) 을 제외하고는 아리피프라졸과 위약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 소아 (13 -17 ) 정신분열병환자에 대한 임상시험 중 객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에서는 , Simpson Angus Scale( 아리피프라졸 : 0.24, 위약 : -0.29) 을 제외하고는 아리피프라졸과 위약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유사하게 , 정신분열병의 장기간 (26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Simpson Angus Rating Scale(EPS 에 대한 것 ), Barnes Akathisia Scale( 정좌불능 에 대한 것 ) Assessments of Involuntary Movement Scales( 운동장애 에 대한 것 ) 에 대해 객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아리피프라졸과 위약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

 

양극성 조증

양극성 조증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 과 관련된 것을 제외시킨 EPS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단일요법 투여군에서 16%, 위약 투여군에서 8%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 과 관련된 반응은 아라피프라졸 단일요법 투여군에서 13%, 위약 투여군에서 4% 발생하였습니다 .

 

리튬이나 발프로산의 보조요법으로 투여한 아리피프라졸의 양극성 조증에 대한 6 주간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정좌불능 과 관련된 것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의 발생률은 아리피프라졸 보조요법 투여군에서 15%, 위약 투여군에서 8%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 과 관련된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보조요법 투여군에서 19%, 위약 투여군에서 5% 발생하였습니다 .

 

소아 양극성 조증 환자 (10 -17 ) 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 과 관련된 것을 제외시킨 EPS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에서 26%, 위약군에서 5% 였고 , 정좌불능과 관련된 것은 아리피프라졸군에서 10%, 위약군에서 2% 로 나타났습니다 .

( 생략 )

 

주요 우울 장애의 부가요법제

주요우울장애의 부가요법제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 을 제외시킨 EPS 관련 반응은 , 아리피프라졸이 부가요법군에서 8%, 위약 투여군에서 5%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 정좌불능 과 관련된 것으로는 , 부가요법제로서 아리피프라졸이 투여된 군에서 25%, 위약을 투여한 군에서 4% 보고되었습니다 .

( 생략 )

 

소아 (6-17 ) 자폐장애 환자의 단기간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 과 관련된 것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18%, 위약 투여군에서 2% 로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3%, 위약 투여군에서 9% 로 발생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 생략 )

 

뚜렛장애

소아 (6-18 ) 뚜렛장애 환자의 단기간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정좌불능 과 관련된 것을 제외한 EPS 관련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9%, 위약 투여군에서 4% 로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3%, 위약 투여군에서 14% 로 발생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 생략 )

 

(14) 정신분열병 혹은 양극성 조증과 관련된 초조

정신분열병 혹은 양극성 조증과 관련된 초조를 보인 환자의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 과 관련된 반응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2%, 위약 투여군에서 2% 로 보고되었고 , 정좌불능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2%, 위약 투여군에서 0% 로 보고되었습니다 . Simpson Angus Rating Scale(EPS 에 대한 것 ), Barnes Akathisia Scale ( 정좌불능 에 대한 것 ) 에서 모든 투여군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아리피프라졸과 위약 투여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

 

(15) 근육긴장이상

Class effect: 근육긴장이상의 증상인 근육군 < 추가 > 의 지속적인 비정상적 수축이 약물 치료 처음 며칠 동안 민감한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근육긴장이상 증상은 때때로 인후 긴장으로 진행되는 목 근육 연축 , 연하 곤란 , 호흡 곤란 , 그리고 / 혹은 혀 돌출 을 포함합니다 . 이러한 증상들은 저용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면 , 1 세대 항정신병약의 고용량과 고효능에서 더 자주 심각하게 나타납니다 . 급성 근육긴장이상의 위험도 상승은 남자와 젊은 연령의 군에서 관찰되었습니다 .

( 생략 )

 

10. BMI 를 기준으로 분류한 체중변화 결과 : 정신분열병에 대한 < 추가 >

( 생략 )

 

(20) 아리피프라졸의 시판 전 평가 중 발생한 기타 이상반응

다음은 13,543 명의 성인환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 어떠한 형태의 임상 시험이든지 아리피프라졸을 1 2 mg 이상 반복 투여한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앞에서 정의 ) 을 반영하는 MedDRA 용어의 리스트입니다 . 약물과의 인과관계 성립이 가능하다고 평가된 이상약물반응 ,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생략 )

 

심장 :

흔하지 않은 - 심폐기능상실 , 서맥 , 심폐정지 , 방실차단 , 심방세동 , 협심증 , 두근거림 , 심근경색 , 주기외수축 , 동성빈맥 , 심근허혈

( 생략 )

전신 :

( 생략 )

흔하지 않은 - 안면 부종 , 혈관 부종

( 생략 )

면역계 :

흔하지 않은 - 과민

( 생략 )

검사

흔한 - creatine phosphokinase 증가 , 체중감소

흔하지 않은 - 간 효소 상승 , 고요소혈증 , 고빌리루빈혈증 , 크레아티닌 상승 , QT 연장 , 고프로락틴혈증 , 혈당 상승

드문 - lactate dehydrogenase 상승 , 당화혈색소 상승 , GGT 상승

 

대사 및 영양 장애 :

흔하지 않은 - 식욕 감퇴 , 고지방혈증 , 당뇨병 ( 혈중 인슐린 증가 , 탄수화물 내인성 감소 ,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 내당능 장애 , 당뇨 , 요당 , 요당 출현 포함 ), 고혈당증 , 저칼륨증 , 저나트륨혈증 , 저혈당증 , 다음증

( 생략 )

 

근골격계 :

흔하지 않은 - 근강직 , 근육쇠약 , 근육긴장 , 움직임 감소

드문 - 횡문근융해증

 

신경계 :

흔한 조화운동이상

 

흔하지 않은 - 언어장애 , 파킨슨증 , 톱니바퀴형 경축 , 기억 장애 , 뇌혈관사고 , 운동감소증 , 지연성 운동이상증 , 근긴장저하증 , 근긴장항진증 , 운동불능증 , 간대성근경련 , 서동

 

드문 - 전신성 경련 , 무도성 무정위 운동증

 

( 생략 )

흔하지 않은 - 공격성 , 성욕 소실 , 적개심 , 자살시도 , 성욕증가 , 분노 , 무오르가슴증 , 섬망 , 의도적 자해 , 자살 , 틱장애 , 살인생각

 

드문 - 긴장병 , 몽유병

 

비뇨기계 :

흔하지 않은 - 뇨저류 , 다뇨증 , 야뇨증

 

생식기계 :

흔하지 않은 - 발기부전 , 무월경 , 불규칙한 월경 , 가슴통증 < 추가 >

 

드문 - 여성형유방 , 발기지속증

( 생략 )

 

피부 및 피하조직 :

 

흔한 - 다한증 , 발진 ( 홍반성 , 박탈성 , 전신성 , 반상성 , 반점구진성 , 구진성 발진 ; 여드름양 , 알레 르기성 , 접촉성 , 박탈성 , 지루피부염 , 약물 발진 , 신경피부염 포함 )

 

흔하지 않은 - 소양증 , 광과민반응 , 탈모증 , 두드러기

( 생략 )

 

위장관계

흔하지 않은 - (tongue) 건조증 , (tongue) 경련증

 

검사

흔한 - 혈중 인슐린 상승

( 생략 )

 

2) 아리피프라졸의 시판 후 평가 중 발생한 유해사례

(1) 국외 유해사례

시판 후 평가에서 발생한 유해사례 는 자발적으로 보고되었으며 , 약물과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확인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 알러지 반응 ( 아나필락시스 반응 , 혈관부종 , 성대문연축 , 소양증 , 두드러기 , 또는 구강인두경련 ) 혈당변동이 드물게 발생하였으며 빈도를 알 수 없는 병적 도박과 성욕항진증 이 보고되었습니다 .

 

(2) 국내 유해사례

정신분열병에 대한 재심사를 위하여 12,147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유해사례 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3.58%(435 /12,147 , 591 ) 이었다 . 유해사례 정좌불능 1.09%(132 ), 불면증 0.63%(76 ), 추체외로장애 0.32%(39 ), 초조 0.27%(33 ), 구역 0.26%(31 ), 두통 0.21%(26 ), 불안 0.15%(18 ), 졸림 0.14%(17 ), 근육긴장이상 0.13%(16 ), 떨림 0.12%(15 ), 어지러움 0.12%(15 ), 경직 0.10%(12 ) 등 이었다 . 약물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3.46%(420 /12,147 , 566 ) 이었다 . 주된 약물유해반응으로는 정좌불능 1.08%(131 ), 불면증 0.60%(73 ), 추체외로장애 0.32%(39 ), 초조 0.27%(33 ), 구역 0.25%(30 ), 두통 0.17%(21 ), 불안 0.15%(18 ), 졸림 0.14%(17 ), 근육긴장이상 0.13%(16 ), 떨림 0.12%(15 ), 어지러움 0.12%(14 ), 경직 0.10%(12 ) 등 이었다 . 중대한 유해사례 는 초조 , 정신병 , 인격장애 , 공격적 반응 , 실없는 웃음 , 혼잣말 , 구음장애 (dysarthria), 근육긴장이상 , 홍반 ( 다형 ), 골절 , 사망이 각각 0.01%(1 ) 씩 보고되었으며 , 이 중 중대한 약물유해반응은 초조 0.01%(1 ), 정신병 0.01%(1 ), 공격적 반응 0.01%(1 ), 실없는 웃음 0.01%(1 ), 혼잣말 0.01%(1 ), 구음장애 (dysarthria) 0.01%(1 ), 근육긴장이상 0.01%(1 ), 홍반 ( 다형 ) 0.01%(1 ) 이었다 . 예상하지 못한 유해사례는 구음장애 (dysarthria) 0.08%(10 ), 운동과다 0.07%(9 ), 수면장애 0.07%(8 ), 안구운동발작 0.04%(5 ), 두근거림 0.04%(5 ), 사고 이상 0.03%(4 ), 무감각 0.02%(3 ), 의도떨림 0.02%(3 ), 환각 0.02%(3 ), 위기능이상 0.02%(3 ), 침흘림 0.02%(3 ), 배뇨 장애 0.02%(3 ) 등 이었으며 , 이 중 구음장애 (dysarthria) 0.08%(10 ), 운동과다 0.07%(9 ), 수면장애 0.07%(8 ), 두근거림 0.04%(5 ), 안구운동발작 0.03%(4 ), 무감각 0.02%(3 ), 사고 이상 0.02%(3 ), 환각 0.02%(3 ), 위기능이상 0.02%(3 ), 침흘림 0.02%(3 ), 배뇨 장애 0.02%(3 ), 의도떨림 0.02%(2 ) 등은 이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으로 조사되었다 .

 

양극성 장애에 대한 재심사를 위하여 1,671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유해사례 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5.33%(89 /1,671 , 124 ) 이었다 . 유해사례는 정좌불능 1.56%(26 ), 불면증 0.78%(13 ), 졸림 0.78%(13 ), 추체외로장애 0.66%(11 ), 떨림 0.54%(9 ), 어지러움 0.24%(4 ), 초조 0.24%(4 ), 경직 0.18%(3 ), 운동과다 0.18%(3 ), 불안 0.18%(3 ), 구역 0.18%(3 ), 시력불선명 0.18%(3 ), 두통 0.12%(2 ), 구음장애 (dysarthria) 0.12%(2 ), 식욕부진 0.12%(2 ), 소변빈도 0.12%(2 ), 간기능이상 0.12%(2 ) 등 이었다 . 약물과의 인과관계를 배재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정좌불능 1.56%(26 ), 추체외로장애 0.66%(11 ), 불면증 0.66%(11 ), 떨림 0.54%(9 ), 졸림 0.54%(9 ), 초조 0.24%(4 ), 운동과다 0.18%(3 ), 구역 0.18%(3 ), 경직 0.18%(3 ), 시력불선명 0.18%(3 ), 불안 0.18%(3 ), 두통 0.12%(2 ), 어지러움 0.12%(2 ), 구음장애 (dysarthria) 0.12%(2 ), 식욕부진 0.12%(2 ), 소변빈도 0.12%(2 ) 등 이었다 . 중대한 유해사례는 정좌불능 0.12%(2 ), 우울증 0.06%(1 ), 졸림 0.06%(1 ) 이었으며 , 이 중 중대한 약물유해반응은 정좌불능 0.12%(2 ) 와 졸림 0.06%(1 ) 이었다 . 예상하지 못한 유해사례는 운동과다 0.18%(3 ), 구음장애 (dysarthria) 0.12%(2 ), 소변빈도 0.12%(2 ) 등 이었으며 , 운동과다 0.18%(3 ), 구음장애 (dysarthria) 0.12%(2 ), 소변빈도 0.12%(2 ) 등은 이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으로 조사되었다 .

 

시판 후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유해반응 은 수면장애 1 건이 보고되었고 , 문헌에서 보고된 중대한 유해사례 로는 배뇨장애 1 건이 있었다 . 국내 시판 후 조사기간 동안 자발적으로 보고된 중대한 유해사례 로 익사 , 자살 , 골괴사 , 심근허혈이 각 1 건씩 보고되었으며 이는 불확실한 규모의 인구집단으로부터 보고되었으므로 , 그 빈도 및 이 약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가 어렵다 .

 

국내 유해사례 보고자료 (1989-2010 ) 를 검토 분석한 결과 다른 의약품에서 발생한 유해사례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유해사례 는 다음과 같다 . 다만 , 이로써 곧 해당성분과 다음의 유해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 생략 )

 

< 추가 >

 

 

 

 

 

 

 

 

 

 

 

 

 

 

 

 

 

 

 

 

 

 

 

 

 

 

 

 

 

 

 

 

 

 

 

5. 일반적주의

( 생략 )

1) 인식력과 운동수행 장애

다른 항정신병 약제와 마찬가지로 , 이 약은 판단착오 , 생각 또는 운동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 약 치료가 이들 환자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확신이 들 때까지 환자들에게 자동차를 포함한 위험한 기계를 조작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주어야 합니다 .

( 생략 )

 

8) 병적 도박 < 추가 > : 아리피프라졸로 치료 받는 환자에게서 시판 후 이상사례로 병적 도박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 도박에 대한 이력이 있는 환자는 병적 도박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으며 주의 깊게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

 

 

 

 

 

 

 

 

 

 

 

 

 

 

 

 

6. 상호작용

( 생략 )

CYP3A4 CYP2D6 는 이 약의 대사에 영향이 있습니다 . CYP3A4 을 유도하는 약물 ( , 카바마제핀 < 추가 > ) 은 이 약의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키고 혈중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

( 생략 )

케토코나졸 및 다른 CYP3A4 저해제 : CYP3A4 의 강력한 저해제인 케토코나졸 (1 200 mg 14 일간 ) 15mg 단회 용량의 아리피프라졸과 병용투여시 , 아리피프라졸과 대사체의 AUC 는 각각 63%, 77% 증가했습니다 . 고용량의 케토코나졸 (1 400mg) 투여는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 따라서 케토코나졸과 이 약의 병용투여시 이 약의 용량을 반으로 줄여야 하며 다른 CYP3A4 의 저해제 ( < 추가 > 이트라코나졸 < 추가 > ) 도 같은 작용을 하므로 같은 정도의 용량감소를 적용합니다 . 약한 저해제 ( < 추가 > 에리스로마이신 , 자몽 주스 ) 의 경우는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 만약 CYP3A4 저해제를 병용투여에서 제외시킬 경우 , 이 약의 용량은 다시 증가시켜야만 합니다 .

( 생략 )

2) 이 약이 다른 약물에 미치는 영향

( 생략 )

< 추가 >

 

 

 

 

 

 

 

 

 

 

( 생략 )

 

7. 임부에 대한 투여

동물시험에서 , 아리피프라졸은 랫트 와 토끼에서 최기형성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발생학적 독성이 증명되었습니다 .

 

임신상태의 랫트 3, 10, 30 mg/kg[mg/m2 기준으로 사람 최대권장량 (MRHD : maximum recommended human dose) 1, 3, 10 배 용량 ] 의 아리피프라졸을 기관형성기에 경구투여 하였습니다 . 30mg/kg/day 에서 임신기간이 약간 연장되었습니다 . 태자체중감소 (30mg/kg/day), 고환정류 (30mg/kg/day), 골격의 골화지연 (10, 30mg/kg/day) 으로 볼 때 , 태자의 발육이 조금 둔화되었습니다 . - 태자 생존률에는 영향이 없었습니다 . 출생자의 체중이 감소 (10, 30mg/kg/day) 되고 , 30mg/kg/day 투여에서 간횡경막 결절과 횡경막 탈장 등의 빈도가 증가하였습니다 ( 다른 용량에서는 이 시험을 하지 않았습니다 ). 30mg/kg/day 에서는 태자에서도 횡경막 탈장이 조금 나타났습니다 . 임신 후반기에도 10 30mg/kg/day 에서 < 추가 > vaginal opening 지연되었고 , 생식능력의 손상 ( 수태능 , 황체 , 착상수 , 태자생존율 감소 , 착상 후 손실의 증가 등 암컷자손에까지 미칠 수 있는 영향 ) 30mg/kg/day 에서 보여집니다 . 다른 모체독성이 30mg/kg/day 에서 관찰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발생상의 영향이 모체독성의 부작용이라는 증거는 없습니다 .

 

< 추가 > 토끼에서 10, 30 100 mg/kg/day(AUC 기준으로 MRHD 2, 3 11 , mg/m2 기준으로 6, 19, 65 배 용량 ) 으로 기관형성기에 경구투여 하였습니다 . 100 mg/kg/day 투여 대상에서 모체의 사료섭취량이 감소하고 , 유산률이 증가하였습니다 . 태자 사망률 증가 (100 mg/kg/day), 태자 체중 감소 (30, 100 mg/kg/day) 와 비정상적인 골격근 ( 흉골 · 늑골의 접합 , 30, 100mg/kg/day), 약간의 골격근변종 (100 mg/kg/day) 이 있었습니다 .

 

3, 10, 30mg/kg/day(mg/m2 기준으로 MRHD 1, 3, 10 배 용량 ) 의 아리피프라졸을 분만 전후 ( 임신 전 17 일부터 분만 후 21 일 까지 ) 랫트 에 경구투여 했을 때 30mg/kg/day 에서 경미한 모체독성과 임신기간의 연장이 관찰되었습니다 . 그리고 사산의 증가 , 태자 체중감소 ( 성체가 될 때까지 지속 ) 와 생존률 감소 등이 나타났습니다 .

( 생략 )

 

9. 수유부에 대한 투여

아리피프라졸은 랫트 에서 수유 중에 유즙으로 분비되었습니다 . 아리피프라졸이나 그 대사물이 사람의 유즙에 분비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아리피프라졸을 복용하는 여성은 수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생략 )

 

12. 과량 투여시 처치

1) 사람에서의 경험

< 추가 > 의도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아리피프라졸의 과량투여는 , 전세계적에서 총 76 건이 보고되었습니다 . 이것은 아리피프라졸 단독 혹은 병용 투여시의 과량투여를 포함한 것입니다 . 사망은 보고된 바 없었고 , 결과가 보고된 44 건 중 , 33 건은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으며 , 한 건은 회복되었지만 , 후유증 ( 산동 및 이상한 느낌 ) 이 있었습니다 . 최고량 복용했던 례로 , 아리피프라졸을 약 1, 080 mg 까지 ( 최대 < 추가 > 권장용량의 36 ) 가 있었고 , 환자는 완전히 회복되었습니다 . 76 건의 과량복용 중 , 소아 (12 세 이하 ) 에 대한 것은 10 건이 있었으며 , 최대 195mg 까지 복용한 사례가 있었고 , 사망은 없었습니다 . 아리피프라졸을 단독 혹은 병용으로 과량복용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 < 추가 > , 구토 , 졸림 , 떨림 이었습니다 . 1 명 이상의 환자에서 나타난 임상적으로 중요한 징후나 증상은 산증 , 공격성 , aspartate aminotransferase 상승 , 심방세동 , 서맥 , 혼수 , 착란상태 , 경련 , 혈중 creatine phosphokinase 증가 , 의식 저하 , 고혈압 , 저칼륨증 , 저혈압 , 기면 , 의식소실 , QRS complex 증가 , QT 연장 , 흡인성 폐렴 , 호흡 정지 , 간질지속상태 , 빈맥이 있었습니다 .

( 생략 )

 

13. 기타

1) 발암성 , 변이원성 , 수정능력 저하

(1) 발암성

ICR 마우스 및 SD(Sprague-Dawley) F344 랫트 를 대상으로 평생동안의 발암성 시험을 실시했습니다 . 2 년 동안 ICR 마우스를 1, 3, 10, 30 mg/kg/day 용량으로 , F344 랫트 에는 1, 3, 10mg/kg/day 용량으로 아리피프라졸을 경구 투여하였습니다 [mg/m2 기준으로 MRHD 의 각각 0.2 5 배 및 0.3 3 배 용량 ]. 또한 , SD 랫트 2 년 동안 10, 20, 40 60mg/kg/day(mg/m2 기준으로 MRHD 3 19 배 용량 ) 을 경구투여 하였습니다 . 아리피프라졸은 수컷 마우스나 랫트 에게 암을 유발하지 않았습니다 . ( 생략 ) 암컷 랫트 10mg/kg/day (AUC 를 기준으로 MRHD 0.1 , mg/m2 기준으로 MRHD 3 배 용량 ) 경구투여시 , 유선 섬유선종 발생이 증가했습니다 .

( 생략 ) 그러나 암컷 랫트 에서의 4 , 13 주간의 섭식 투여 (Dietary study) 에서 유선암과 연관 가능성이 있는 농도에서 혈장 프로락틴은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 ( 생략 )

 

(2) 변이원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 , 박테리아를 이용한 DNA 수복 시험 , 마우스 림포마 세포를 이용한 유전자돌연변이 시험 및 Chinese hamster lung(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 , 마우스를 이용한 체내 소핵시험 및 랫트 를 이용한 DNA 합성 시험을 통해 이 약의 변이원성에 관한 시험이 실시되었습니다 . ( 생략 )

 

(3) 수정능력 저하

암컷 랫트 에서 , 아리피프라졸을 2, 6, 20 mg/kg/day(mg/m2 기준으로 MRHD 0.6, 2, 6 배 용량 ) 을 교배 2 주전부터 임신 후 7 일까지 투여하였습니다 . ( 생략 )

 

2) 동물 독성

알비노 랫트 를 대상으로 아리피프라졸 60 mg/kg/day 26 주간 투여한 반복투여 독성시험과 40, 60 mg/kg/day(mg/m2 기준으로 MRHD 13, 19 , AUC 를 기준으로 MRHD 7, 14 배 용량 ) 2 년간 투여한 발암성시험에서 망막변성이 나타났습니다 . ( 생략 )

 

1. 경고

1) 자살성향 및 항우울제

( 생략 )

상당기간 동안 항우울제가 치료 초기에 , 특정환자에게 자살성향의 발생이나 우울증의 악화에 기여할 소지가 있다는 염려가 있었습니다 . , 주요우울증 및 기타의 정신 질환을 가진 소아 , 청소년 및 젊은 성인 (18 24 ) 에 대한 항우울제의 단기 위약대조 임상시험을 종합 분석한 결과 , 항우울 제 (SSRI 및 기타 ) 가 위약에 비해 자살 생각 과 행동 ( 자살 성향 ) 의 위험도를 증가시킴이 나타났습니다 .

( 생략 )

주요우울장애 뿐 아니라 정신질환 및 비정신질환성 적응증으로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성인과 소아 환자에게 , 불안 , 초조 , 공황발작 , 불면증 , 과민성 (irritability) , 적개심 , 공격성 , 충동 , 정좌불능증 ( 정신운동성 안절부절 ) , 경조증 및 조증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증상들의 발생과 , 우울증 의 악화 및 자살 충동과의 연관성은 확립되지 않았지만 , 자살성향 발생의 전조증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

( 생략 )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 주요우울장애 , 정신질환 혹은 비정신질환 ) 환자의 가족 및 보호자들은 , 초조 , 과민성 , 행동의 이상 변화 , 상기 증상 및 자살성향에 대하여 , 면밀히 관찰하고 , 발견 즉시 의료인에게 보고해야만 합니다 . 가족과 보호자는 매일 이같은 관찰을 해야 하고 , 과량 투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이 약은 최소량부터 처방되어져야 합니다 .

( 생략 )

2)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이 약을 포함한 항정신병약의 투여와 관련하여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NMS) 이라는 치명적일 수 있는 증상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 약 치료 시 소수의 NMS 가 전세계에 걸친 시판 전 임상에서 발생했습니다 . NMS 의 임상증상은 초고열증 (hyperpyrexia), 근강직 (muscle rigidity), 정신 상태 변화 및 자율신경 불안정의 증거 ( 불규칙한 맥박 또는 혈압 , 빈맥 , 발한 및 심부정맥 ) 입니다 . 추가로 혈중 크레아틴인산활성 효소 증가 , 미오글로빈뇨 ( 횡문근 융해 ) 및 급성 신부전 등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생략 )

NMS 발생시에는

. 항정신병약과 치료에 필수적이지 않은 다른 약물의 투여를 즉각적으로 중지하고 ,

. 강도 높은 대증치료 및 의학적 모니터링을 실시하며 ,

. 병발한 중대한 의학적 문제 중 특별한 치료법이 있는 문제에 대해서는 해당치료를 실시해야 합니다 . 병발증이 없는 NMS 에 대한 약물요법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 생략 )

 

3) 지연성 운동이상증 (Tardive Dyskinesia)

항정신병약으로 치료받는 환자에서 잠재적으로 비가역적 , 비자발적인 , 이상운동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 증후군은 고령자 , 특히 여성 고령자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 어떠한 환자에서 이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이환율에 의존하여 항정신병약 투여 초기에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지연성 운동이상증 유발 가능성에 있어서 항정신병약 제품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지연성 운동이상증 발생 위험 및 비가역적이 될 가능성은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및 해당환자에 투여한 항정신병약의 총 누적용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그러나 , 그 빈도는 더 낮지만 , 낮은 용량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을 투여 후에도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항정신병약의 투여를 중지하면 증후군은 일부 또는 전부 완화될 수도 있지만 지연성 운동이상증 환자에 대한 치료법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그러나 항정신병치료 자체가 증후군의 증상 및 징후를 억제 ( 또는 부분 억제 ) 할 수도 있으므로 이로 인해 근원적인 진행을 감춰버릴 수도 있습니다 . 증상억제가 증후군의 장기 진행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 이 약은 지연성 운동이상증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처방되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만성 항정신병 치료는 (1) 항정신병 약제에 반응 한다고 알려져 있고 (2) 만성 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 중 , 잠재적 유해성이 더 적은 동등한 효과의 대체약물이 없거나 부적절한 환자에 대해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 장기투여가 필요한 환자에서는 , 만족할만한 임상반응을 가져올 수 있는 최저용량과 최단투여기간으로 투여해야 합니다 . 지속적으로 투여해야 할 지에 대한 필요성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해야 합니다 .

 

이 약 투여 환자에서 지연성 운동이상증 의 증상 및 징후가 나타나면 , 약물 투여 중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그러나 , 어떤 환자에서는 이러한 증후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약 투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4) 치매성 노인 정신질환 환자에서의 뇌졸중을 포함한 뇌혈관계 사고

( 생략 )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정신질환을 겪는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 위약대조 10 주간의 아리피프라졸 임상시험 3 건에서 (n=938, 평균연령 : 82.4 , 연령대 : 56 99), 위약 군에 비해 아리피프라졸 군에서의 발생률이 2 배 이상이고 , 그 발생률이 3% 이상인 , 투여 후 발생한 이상반응은 , 기면 (lethargy)( 위약 2%, 아리피프라졸 5%), 졸림 (somnolence)( 진정 포함 )( 위약 3%, 아리피프라졸 8%), 실금 ( 주로 요실금 )( 위약 1%, 아리피프라졸 5%), 과도한 침분비 (excessive salivation) ( 위약 0%, 아리피프라졸 4%), 어지러움 (lightheadedness)( 위약 1%, 아리피프라졸 4%) 이 있었습니다 .

 

 

치매를 동반한 정신질환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 만약 이러한 환자에게 이 약이 처방될 경우에는 , 특별히 우발적사고 (accidental injury) 흡인으로 이어지기 쉬운 연하곤란 및 과도한 졸람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5) 고혈당증 및 당뇨병

비정형 항정신병약을 투여한 환자에 대하여 케톤산증이나 고삼투압 혼수 또는 사망이 연관된 고혈당증이 몇 례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게서는 고혈당증에 대한 보고가 있었습니다 . 비정형 항정신병약의 사용과 혈당 이상 간의 관계는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당뇨병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과 일반인에게서 당뇨병 발병이 증가할 가능성으로 인해 평가가 어렵습니다 .

 

 

( 생략 )

그러나 < 삭제 > 역학연구에서 , < 삭제 > 비정형 항정신병약을 투여한 환자에게 투여 이후 발생한 고혈당 관련 이상반응의 증가가 있었습니다 .

 

비정형 항정신병약을 투여할 경우 , 다음증 , 다뇨 , 다식증 , 쇠약과 같은 고혈당 징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 비정형 항정신병약 투여를 시작한 당뇨병 확진을 받았거나 당뇨병 위험소인을 가진 환자는 혈당조절이 악화되는지를 정기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 비정형 항정신병약으로 치료 도중 고혈당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공복 시 혈당 측정을 실시해야 합니다 . 몇몇의 경우 , 고혈당증은 비정형 항정신병약을 중단하고 사라졌으나 몇 명의 환자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약물을 중단한 이후에도 항당뇨병 치료를 계속해야 했습니다 .

 

6) 정맥혈전색전증 위험

항정신병 의약품 사용 시 정맥혈전색전증 (VTE) 이 보고된 예가 있습니다 . 항정신병 의약품을 투여 받은 환자들에서 정맥혈전색전증 위험성이 종종 나타남에 따라 이 약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하는 중에 정맥혈전색전증 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위험 요인을 확인해야 하며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2. 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은 이 약물에 과민증이 있다고 알려진 환자에는 금기입니다 . 반응은 가려움증 및 두드러기로부터 과민반응까지 다양합니다 .

( 생략 )

 

3. 다음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기립성 저혈압

이 약은 alpha1-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작용에 의해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성인에 대한 경구용 아리피프라졸의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 (n=2,467) 에서 , 기립성 저혈압과 관련된 사례는 ( 아리피프라졸군 발생률 , 위약군 발생률 ) 기립성 저혈압 (1%, 0.3%), 체위성 어지러움 (0.5%, 0.3%), 실신 (0.5%, 0.4%) 이었습니다 . 6 세에서 17 세 연령범위의 소아에서는 (n=611), 기립성저혈압 (0.5%, 0%), 체위성 어지러움 (0.3%, 0%), 실신 (0.2%, 0%) 이 있었습니다 .

이 약 투여시 , 유의한 혈압의 기립성 변화 ( 누운 자세와 선 자세를 비교하였을 때 심박수가 25 bpm 이상 증가하고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 ) 의 발생률은 ( 아리피프라졸 발생률 , 위약 발생률 ) 이 약을 경구 복용하는 성인 환자에서 4% 2%, 6 17 세의 소아환자에서 0.2% 1% , 위약과 비교 시 의미 있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

이 약은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 ( 심근경색증 또는 허혈성 심질환 기왕력 , 심부전이나 심전도 이상 ), 뇌혈관 질환 또는 저혈압을 일으키기 쉬운 상태 ( 탈수 , 혈액량감소 및 고혈압 약제 복용 ) 의 환자에서는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

( 생략 )

 

3) 인지력과 운동수행능력의 장애 가능성

( 생략 )

 

6) 자살

정신질환과 양극성장애 및 주요우울장애는 자살 시도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고위험 환자에 대해 약물 치료시 철저히 감독하여야 합니다 .

( 생략 )

 

4. 이상반응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 가장 흔하게 (10% 이상 ) 나타난 이상반응은 구역 , 구토 , 변비 , 두통 , 어지러움 , 정좌불능증 , 불안 , 불면증 , 안절부절 이었습니다 .

( 생략 )

 

1)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1) 성인 정신분열병 환자

다음의 소견은 아리피프라졸을 1 2 30mg 의 용량범위에서 투여한 5 건의 위약대조 임상시험 (4 건의 4 주 및 1 건의 6 주 임상시험 ) 을 종합하여 근거로 한 것입니다 .

 

투약 중지를 일으킨 이상반응

전체적으로 , 아리피프라졸 투여군 (7%) 과 위약 투여군 (9%) 의 환자들 간에 이상반응으로 인해 투약을 중지한 빈도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 투약중지로 이어진 이상반응의 종류는 두 시험군 간에 유사했습니다 .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5% 이상이고 , 위약군보다 두배 이상 발생한 유일한 이상반응은 정좌불능증이었습니다 ( 아리피프라졸 8%, 위약 4%).

 

(2) 성인 양극성 조증 환자 - 단독요법

다음의 소견은 아리피프라졸을 1 15 또는 30mg 용량으로 투여하여 3 주간의 위약대조 양극성 장애 임상시험을 근거로 한 것입니다 .

( 생략 )

1. 양극성 조증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N=917)

위약

(N=753)

정좌불능증

13

4

진정

8

3

떨림

6

3

안절부절 < 삭제 >

6

3

추체외로장애

5

2

 

( 생략 )

단독요법으로 리튬이나 발프로산에 이미 내성이 있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 이상반응에 의한 투약 중지 비율은 위약을 투여한 환자는 6%, 보조요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투여한 환자는 12% 이었습니다 . 아리피프라졸 보조요법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 간의 비교에서 투약 중지와 연관되어 가장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은 정좌불능증 ( 각각 5%, 1%) 과 떨림 ( 각각 2%, 1%) 이었습니다 .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리튬이나 발프로산의 보조요법으로 아리피프라졸을 투여한 양극성 조증 환자와 연관되어 흔하게 (5% 이상 , 위약군보다 아리피프라졸군에서 2 배 이상 ) 발생한 이상반응은 정좌불능증 , 불면증 , 추체외로장애 이었습니다 .

( 생략 )

 

(4) 성인 주요우울장애 환자 부가요법

( 생략 )

주요우울장애에서 흔하게 (5% 이상 , 위약군보다 아리피프라졸군에서 2 배 이상 ) 발생한 이상반응은 정좌불능증 , 안절부절 , 불면증 , 변비 , 피로 , 시야흐림 이 있었습니다 .

 

(5) 성인에서 덜 흔하게 발생한 이상반응

( 생략 )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N = 1,843)

위약

(N = 1,166)

시야흐림

3

1

위장관계

구역

15

11

구토

11

6

변비

11

7

소화불량

9

7

구강건조

5

4

복부불쾌감

3

2

위불편감

3

2

치통

4

3

전신

피로

6

4

통증

3

2

근골격계

사지통증

4

2

근육골격경직

4

3

근육통

2

1

근육연축

2

1

신경계

두통

27

23

어지러움

10

7

정좌불능증

10

4

진정

7

4

추체외로장애

5

3

떨림

5

3

졸림

5

3

정신계

초조

19

17

불면증

18

13

불안

17

13

안절부절 < 삭제 >

5

3

흉부호흡기계

인후통

3

2

기침

3

2

2. 단기간 위약대조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2%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하게 또는 덜 발생한 < 삭제 > 이상반응은 제외 )

( 생략 )

 

. 양극성 조증 보조요법

( 생략 )

 

3. 양극성 장애 환자의 단기간 , 위약대조 , 아리피프라졸 보조요법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

리튬 또는 발프로산

(n=253)

위약 +

리튬 또는 발프로산

(n=130)

위장관계

구역

8

5

구토

4

0

침 과다분비

4

2

구강건조

2

1

감염

비인두염

3

2

검사

체중 증가

2

1

신경계

정좌불능증

19

5

떨림

9

6

추체외로 장애

5

1

어지러움

4

1

진정

4

2

정신계

불면증

8

4

불안

4

1

안절부절 < 삭제 >

2

1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2%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 하거나 적게 발생한 < 삭제 > 이상반응은 제외 )

 

. 주요우울장애 부가요법

( 생략 )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 ADT (N=371)

위약 + ADT

(N=366)

시야흐림

6

1

위장관계

변비

5

2

전신

피로

8

4

신경과민

3

1

감염

상기도감염

6

4

검사

체중증가

3

2

대사 및 영양

식욕증가

3

2

근골격계

관절통

4

3

근육통

3

1

신경계

정좌불능증

25

4

졸림

6

4

떨림

5

4

진정

4

2

어지러움

4

2

주의력장애

3

1

추체외로장애

2

0

정신계

안절부절 < 삭제 >

12

2

불면증

8

2

4. 주요우울장애에 대한 단기간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2%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하거나 적게 발생한 다음의 이상반응은 제외 )

( 생략 )

 

5. 소아 (10-17 ) 양극성 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아리피프라졸 (N=197)

위약 (n=97)

졸림

23

3

추체외로장애

20

3

피로

11

4

구역

11

4

정좌불능증

10

2

시야흐림

8

0

침과다분비

6

0

어지러움

5

1

 

6. 소아 (6-17 ) 자폐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아리피프라졸 (N=212)

위약 (n=101)

진정

21

4

피로

17

2

구토

14

7

졸림

10

4

떨림

10

0

발열

9

1

침흘림 (drooling)

9

0

식욕 감소

7

2

침과다분비

6

1

추체외로 장애

6

0

기면

5

0

(9) 소아 (6-17 )

정신분열병 , 양극성 조증 , 혹은 자폐장애 환자에서 덜 흔하게 발생한 이상 반응

( 생략 )

7. 소아 (6-17 )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N=611)

위약 (N=298)

시야흐림

3

0

위장관계

구토

9

7

구역

8

4

설사

5

3

침과다분비

4

1

상복부통

3

2

변비

3

2

전신

구강건조

1

0

피로

10

2

발열

5

1

갈증

1

0

과민성

1

0

감염

비인두염

6

3

검사

체중증가

2

1

대사 및 영양

식욕 증가

7

3

식욕 감소

4

2

근골격계

관절통

1

0

근육골격경직

1

0

신경계

졸림

16

4

추체외로장애

14

2

두통

13

12

정좌불능증

6

1

진정

8

1

떨림

6

1

침흘림 (drooling)

4

0

어지러움

3

1

기면

2

0

근육긴장이상

1

0

운동이상증

1

0

과다수면

1

0

생식기계

월경통 *

2

1

호흡기계

콧물

2

1

피부 및 피하조직

발진

2

1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 하거나 적게 발생한 < 삭제 > 이상반응은 제외 )

( 생략 )

 

9. 소아 (6-18 )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이상반응

이상반응을 보고한 환자의 백분율 a

기관계 - 이상반응

아리피프라졸

(N=32)

위약

(N=28)

신경계

진정

13

11

추체외로장애

9

4

두통

9

4

졸림

9

0

운동완만

3

0

말더듬증

3

0

지각이상

3

0

위장관계

구역

13

0

정신계

안절부절 < 삭제 >

3

0

대사 및 영양

식욕 감소

6

0

식욕 증가

3

0

검사

심전도 QT 연장

6

0

a 아리피프라졸 투여 환자의 1% 이상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 위약과 동등 하거나 적게 발생한 < 삭제 > 이상반응은 제외 )

 

(12) 용량 관련 이상반응

( 생략 )

 

양극성장애

소아 양극성장애 조증 환자 (10-17 ) 에 대한 , 4 주간의 임상시험에서 , 용량 - 반응 상관관계 가능성이 있는 , 흔한 이상반응 4 건은 추체외로장애 ( 위약 , 3.1% ; 10mg, 12.2% ; 30mg, 27.3%); 졸림 ( 위약 , 3.1% ; 10mg, 19.4% ; 30mg, 26.3%); 정좌불능증 ( 위약 , 2.1% ; 10mg, 8.2% ; 30mg 11.1%) ; 침과다분비 ( 위약 , 0% ; 10mg, 3.1% ; 30mg, 8.1%) 이었습니다 .

 

( 생략 )

 

(13) 추체외로 증상 (EPS)

 

정신분열병

정신분열병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정좌불능증 으로 보고된 것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은 ,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13%, 위약 투여군에서 12%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이상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8%, 위약 투여군에서 4% 발생하였습니다 .

 

소아 (13-17 ) 정신분열병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증 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은 , 아리피프라졸을 투여군에서 25%, 위약 투여군에서 7%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것으로는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9%, 위약 투여군에서 6% 발생하였습니다 .

 

Simpson Angus Rating Scale(EPS 에 대한 것 ), Barnes Akathisia Scale( 정좌불능증 에 대한 것 ) Assessments of Involuntary Movement Scales( 운동이상증 에 대한 것 ) 관련하여 , 이들 임상시험으로부터 객관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습니다 . 정신분열병에 대한 성인 임상시험에서 객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Barnes Akathisia Scale( 아리피프라졸 : 0.08, 위약 : -0.05) 을 제외하고는 아리피프라졸과 위약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 소아 (13 -17 ) 정신분열병환자에 대한 임상시험 중 객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에서는 , Simpson Angus Scale( 아리피프라졸 : 0.24, 위약 : -0.29) 을 제외하고는 아리피프라졸과 위약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유사하게 , 정신분열병의 장기간 (26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Simpson Angus Rating Scale(EPS 에 대한 것 ), Barnes Akathisia Scale( 정좌불능증 에 대한 것 ) Assessments of Involuntary Movement Scales( 운동이상증 에 대한 것 ) 에 대해 객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아리피프라졸과 위약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

 

양극성 조증

양극성 조증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것을 제외시킨 EPS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단일요법 투여군에서 16%, 위약 투여군에서 8%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반응은 아라피프라졸 단일요법 투여군에서 13%, 위약 투여군에서 4% 발생하였습니다 .

 

리튬이나 발프로산의 보조요법으로 투여한 아리피프라졸의 양극성 조증에 대한 6 주간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것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의 발생률은 아리피프라졸 보조요법 투여군에서 15%, 위약 투여군에서 8%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보조요법 투여군에서 19%, 위약 투여군에서 5% 발생하였습니다 .

 

소아 양극성 조증 환자 (10 -17 ) 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것을 제외시킨 EPS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에서 26%, 위약군에서 5% 였고 , 정좌불능과 관련된 것은 아리피프라졸군에서 10%, 위약군에서 2% 로 나타났습니다 .

( 생략 )

 

주요 우울 장애의 부가요법제

주요우울장애의 부가요법제에 대한 단기간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증 을 제외시킨 EPS 관련 반응은 , 아리피프라졸이 부가요법군에서 8%, 위약 투여군에서 5%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것으로는 , 부가요법제로서 아리피프라졸이 투여된 군에서 25%, 위약을 투여한 군에서 4% 보고되었습니다 .

( 생략 )

 

소아 (6-17 ) 자폐장애 환자의 단기간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것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18%, 위약 투여군에서 2% 로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증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3%, 위약 투여군에서 9% 로 발생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 생략 )

 

뚜렛장애

소아 (6-18 ) 뚜렛장애 환자의 단기간 ,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것을 제외한 EPS 관련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9%, 위약 투여군에서 4% 로 발생하였고 , 정좌불능증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3%, 위약 투여군에서 14% 로 발생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

( 생략 )

 

(14) 정신분열병 혹은 양극성 조증과 관련된 초조

정신분열병 혹은 양극성 조증과 관련된 초조를 보인 환자의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 정좌불능증 과 관련된 반응을 제외한 EPS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2%, 위약 투여군에서 2% 로 보고되었고 , 정좌불능증 관련 반응은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에서 2%, 위약 투여군에서 0% 로 보고되었습니다 . Simpson Angus Rating Scale(EPS 에 대한 것 ), Barnes Akathisia Scale ( 정좌불능증 에 대한 것 ) 에서 모든 투여군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아리피프라졸과 위약 투여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

 

(15) 근육긴장이상

Class effect: 근육긴장이상의 증상인 근육군 (muscle groups) 의 지속적인 비정상적 수축이 약물 치료 처음 며칠 동안 민감한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근육긴장이상 증상은 때때로 목구멍 긴장으로 진행되는 목 근육 연축 , 연하 곤란 , 호흡 곤란 , 그리고 / 혹은 혀 내밈 을 포함합니다 . 이러한 증상들은 저용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면 , 1 세대 항정신병약의 고용량과 고효능에서 더 자주 심각하게 나타납니다 . 급성 근육긴장이상의 위험도 상승은 남자와 젊은 연령의 군에서 관찰되었습니다 .

( 생략 )

 

10. BMI 를 기준으로 분류한 체중변화 결과 : 정신분열병에 대한 위약대조 시험 안전성 샘플

( 생략 )

 

(20) 아리피프라졸의 시판 전 평가 중 발생한 기타 이상반응

다음은 13,543 명의 성인환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 어떠한 형태의 임상 시험이든지 아리피프라졸을 1 2 mg 이상 반복 투여한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 앞에서 정의 ) 을 반영하는 MedDRA 용어의 리스트입니다 . 약물과의 인과관계 성립이 가능하다고 평가된 약물이상반응 ,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생략 )

 

심장 :

흔하지 않은 - 심폐부전 , 서맥 , 심폐정지 , 방실차단 , 심방세동 , 협심증 , 두근거림 , 심근경색 , 주기외수축 , 동성빈맥 , 심근허혈

( 생략 )

전신 :

( 생략 )

흔하지 않은 - 얼굴 부종 , 혈관 부종

( 생략 )

면역계 :

흔하지 않은 - 과민증

( 생략 )

검사

흔한 혈중 크레아틴인산활성 효소 증가 , 체중감소

흔하지 않은 - 간 효소 증가 , 혈중 요소 증가 , 혈중 빌리루빈 증가 . 혈중 크레아티닌 증가 , QT 연장 , 혈중프로락틴 증가 , 혈당 증가

드문 혈중 젖산탈수소효소 증가 , 당화혈색소 증가 , GGT 증가

 

 

대사 및 영양 장애 :

흔하지 않은 - 식욕 부진 , 고지방혈증 , 당뇨병 ( 혈중 인슐린 증가 , 탄수화물 내인성 감소 , -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 내당능 장애 , 당뇨 , 요당 , 요당 출현 포함 ), 고혈당증 , 저칼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 저혈당증 , 다음증

( 생략 )

 

근골격계 :

흔하지 않은 - 근강직 , 근위약 , 근육긴장 , 움직임 감소

드문 - 횡문근융해

 

신경계 :

흔한 협조운동이상

 

흔하지 않은 - 언어장애 , 파킨슨증 , 톱니바퀴경직 , 기억이상 , 뇌혈관사고 , 운동감소증 , 지연성 운동이상증 , 근긴장저하증 , 근긴장항진증 , 무운동 , 간대성근경련증 , 운동완만

 

드문 대발작 , 무도무정위운동

 

( 생략 )

흔하지 않은 - 공격성 , 성욕 상실 , 적개심 , 자살시도 , 성욕증가 , 분노 , 성흥분부전증 , 섬망 , 의도적 자해 , 자살 , , 살해생각

 

드문 - 긴장증 , 몽유병

 

비뇨기계 :

흔하지 않은 - 요저류 , 다뇨 , 야간뇨

 

생식기계 :

흔하지 않은 - 발기기능장애 , 무월경 , 월경불순 , 가슴통증 (breast pain)

 

드문 - 여성형유방 , 지속발기증

( 생략 )

 

피부 및 피하조직 :

 

흔한 - 땀과다증 , 발진 ( 홍반성 , 박탈성 , 전신성 , 반상성 , 반점구진성 , 구진성 발진 ; 여드름양 , 알레 르기성 , 접촉성 , 박탈성 , 지루피부염 , 약물 발진 , 신경피부염 포함 )

 

흔하지 않은 - 가려움증 , 광과민반응 , 탈모 , 두드러기

( 생략 )

 

위장관계

흔하지 않은 혀건조 (tongue dry), 혀연축

 

검사

흔한 - 혈중 인슐린 증가

( 생략 )

 

2) 아리피프라졸의 시판 후 평가 중 발생한 이상사례

(1) 국외 이상사례

시판 후 평가에서 발생한 이상사례 는 자발적으로 보고되었으며 , 약물과의 인과관계가 명확히 확인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 알러지 반응 ( 아나필락시스 반응 , 혈관부종 , 후두연축 , 가려움증 , 두드러기 , 또는 구강인두연축 ) 혈당변동 , 병적 도박과 성욕항진증 , 딸국질 이 보고되었습니다 .

 

(2) 국내 이상사례

정신분열병에 대한 재심사를 위하여 12,147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이상사례 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3.58%(435 /12,147 , 591 ) 이었다 . 이상사례 정좌불능증 1.09%(132 ), 불면증 0.63%(76 ), 추체외로장애 0.32%(39 ), 초조 0.27%(33 ), 구역 0.26%(31 ), 두통 0.21%(26 ), 불안 0.15%(18 ), 졸림 0.14%(17 ), 근육긴장이상 0.13%(16 ), 떨림 0.12%(15 ), 어지러움 0.12%(15 ), 경직 0.10%(12 ) 등 이었다 . 약물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3.46%(420 /12,147 , 566 ) 이었다 . 주된 약물이상반응으로는 정좌불능증 1.08%(131 ), 불면증 0.60%(73 ), 추체외로장애 0.32%(39 ), 초조 0.27%(33 ), 구역 0.25%(30 ), 두통 0.17%(21 ), 불안 0.15%(18 ), 졸림 0.14%(17 ), 근육긴장이상 0.13%(16 ), 떨림 0.12%(15 ), 어지러움 0.12%(14 ), 경직 0.10%(12 ) 등 이었다 . 중대한 이상사례 는 초조 , 정신증 , 인격장애 , 공격적 반응 , 실없는 웃음 , 혼잣말 , 말더듬증 , 근육긴장이상 , 홍반 ( 다형 ), 골절 , 사망이 각각 0.01%(1 ) 씩 보고되었으며 , 이 중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초조 0.01%(1 ), 정신증 0.01%(1 ), 공격적 반응 0.01%(1 ), 실없는 웃음 0.01%(1 ), 혼잣말 0.01%(1 ), 말더듬증 0.01%(1 ), 근육긴장이상 0.01%(1 ), 홍반 ( 다형 ) 0.01%(1 ) 이었다 .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말더듬증 0.08%(10 ), 운동과다증 0.07%(9 ), 수면장애 0.07%(8 ), 안구운동발작 0.04%(5 ), 두근거림 0.04%(5 ), 이상사고 0.03%(4 ), 무감각 0.02%(3 ), 의도떨림 0.02%(3 ), 환각 0.02%(3 ), 위기능이상 0.02%(3 ), 침흘림 (drooling) 0.02%(3 ), 배뇨 장애 0.02%(3 ) 등 이었으며 , 이 중 말더듬증 0.08%(10 ), 운동과다증 0.07%(9 ), 수면장애 0.07%(8 ), 두근거림 0.04%(5 ), 안구운동발작 0.03%(4 ), 무감각 0.02%(3 ), 사고 이상 0.02%(3 ), 환각 0.02%(3 ), 위기능이상 0.02%(3 ), 침흘림 0.02%(3 ), 배뇨 장애 0.02%(3 ), 의도떨림 0.02%(2 ) 등은 이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으로 조사되었다 .

 

양극성 장애에 대한 재심사를 위하여 1,671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이상사례 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5.33%(89 /1,671 , 124 ) 이었다 . 이상사례 정좌불능증 1.56%(26 ), 불면증 0.78%(13 ), 졸림 0.78%(13 ), 추체외로장애 0.66%(11 ), 떨림 0.54%(9 ), 어지러움 0.24%(4 ), 초조 0.24%(4 ), 경직 0.18%(3 ), 운동과다증 0.18%(3 ), 불안 0.18%(3 ), 구역 0.18%(3 ), 시야흐림 0.18%(3 ), 두통 0.12%(2 ), 말더듬증 0.12%(2 ), 식욕부진 0.12%(2 ), 빈뇨 0.12%(2 ), 간기능이상 0.12%(2 ) 등 이었다 . 약물과의 인과관계를 배재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발현율은 정좌불능증 1.56%(26 ), 추체외로장애 0.66%(11 ), 불면증 0.66%(11 ), 떨림 0.54%(9 ), 졸림 0.54%(9 ), 초조 0.24%(4 ), 운동과다증 0.18%(3 ), 구역 0.18%(3 ), 경직 0.18%(3 ), 시야흐림 0.18%(3 ), 불안 0.18%(3 ), 두통 0.12%(2 ), 어지러움 0.12%(2 ), 말더듬증 0.12%(2 ), 식욕부진 0.12%(2 ), 빈뇨 0.12%(2 ) 등 이었다 . 중대한 이상사례는 정좌불능증 0.12%(2 ), 우울증 0.06%(1 ), 졸림 0.06%(1 ) 이었으며 , 이 중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정좌불능증 0.12%(2 ) 와 졸림 0.06%(1 ) 이었다 .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는 운동과다증 0.18%(3 ), 말더듬증 0.12%(2 ), 빈뇨 0.12%(2 ) 등 이었으며 , 운동과다증 0.18%(3 ), 말더듬증 0.12%(2 ), 빈뇨 0.12%(2 ) 등은 이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이상반응 으로 조사되었다 .

 

시판 후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은 수면장애 1 건이 보고되었고 , 문헌에서 보고된 중대한 이상사례 로는 배뇨장애 1 건이 있었다 . 국내 시판 후 조사기간 동안 자발적으로 보고된 중대한 이상사례 로 익사 , 자살 , 골괴사 , 심근허혈이 각 1 건씩 보고되었으며 이는 불확실한 규모의 인구집단으로부터 보고되었으므로 , 그 빈도 및 이 약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가 어렵다 .

 

 

국내 이상사례 보고자료 (1989-2010 ) 를 검토 분석한 결과 다른 의약품에서 발생한 이상사례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 는 다음과 같다 . 다만 , 이로써 곧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 생략 )

 

소아 (6-18 ) 뚜렛장애에 대한 재심사를 위하여 4 년 동안 648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7.72%(50/648 , 65 ) 로 보고되었다 . 이 중 중대한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0.15%(1/648 , 1 ) 로 신경염이 보고되었다 .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0.62%(4/648 , 5 ) 로 보고되었으며 , 무감동 , 감정적불안정 , 소장염 , 신경염 , 습진 각 0.15%(1/648 , 1 ) 로 조사되었다 . 이 중 ,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의 발현율은 0.15%(1/648 , 1 ) , 무감동이 보고되었다 .

 

재심사 이상사례 분석평가 결과

 

이 약에 대한 국내 재심사 이상사례 및 자발적 부작용 보고자료를 국내 시판 허가된 모든 의약품을 대상으로 보고된 이상사례 보고자료 (1989-2016.2) 와 재심사 종료시점에서 통합평가한 결과 , 다른 모든 의약품에서 보고된 이상사례에 비해 이 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이상사례 중 새로 확인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 다만 , 이 결과가 해당성분과 다음의 이상사례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신경계 : 목경직 , 혀마비

 

정신계 : 정신증 , 망상 , 무감동

 

전신 및 투여부위이상 : 다리통증

 

호흡기계 : 비염

 

감염 : 진균피부염

 

비뇨생식계 : 요로질환

 

5. 일반적주의

( 생략 )

1) 인식력과 운동수행능력의 장애

다른 항정신병 약제와 마찬가지로 , 이 약은 판단 , 사고 또는 운동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 약 치료가 이들 환자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확신이 들 때까지 환자들에게 자동차를 포함한 위험한 기계를 조작하는 것에 대해 주의를 주어야 합니다 .

( 생략 )

 

8) 병적 도박 및 다른 강박 행동

환자들이 아리피프라졸을 투여 받는 동안 강렬한 충동들 ( 특히 도박에 대한 강렬한 충동 ) 을 느끼고 그러한 충동들이 조절되지 않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는 사실이 시판 후 사례 보고를 통해 제시되었습니다 . 도박에 대한 이력이 있는 환자는 병적도박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으며 주의 깊게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 덜 흔하게 보고된 다른 강박적인 충동들에는 성적 충동 , 쇼핑 , 폭식 , 기타 충동적 또는 강박 행동들이 있습니다 . 환자들이 이러한 행동들을 비정상적인 것으로 인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아리피프라졸로 치료받는 동안 도박 충동 , 강박적인 성적 충동 , 강박적인 쇼핑 , 폭식 또는 기타 충동들이 새롭게 또는 강렬하게 나타났는지를 물어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 충동 조절과 관계된 증상들은 기저 질환과 관계가 있을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 . 모든 사례는 아니지만 , 몇 가지 사례의 경우 이 약의 용량을 줄이거나 투여를 중지하였을 때 충동들이 사라졌습니다 . 강박 행동들을 인지하지 못하면 환자 본인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습니다 . 환자들에게 이러한 충동적 행동들이 나타나면 이 약의 용량을 줄이거나 투여 중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6. 상호작용

( 생략 )

CYP3A4 CYP2D6 는 이 약의 대사에 영향이 있습니다 . CYP3A4 을 유도하는 약물 ( , 카바마제핀 , 리팜핀 ) 은 이 약의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키고 혈중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

( 생략 )

케토코나졸 및 다른 CYP3A4 저해제 : CYP3A4 의 강력한 저해제인 케토코나졸 (1 200 mg 14 일간 ) 15mg 단회 용량의 아리피프라졸과 병용투여시 , 아리피프라졸과 대사체의 AUC 는 각각 63%, 77% 증가했습니다 . 고용량의 케토코나졸 (1 400mg) 투여는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 따라서 케토코나졸과 이 약의 병용투여시 이 약의 용량을 반으로 줄여야 하며 다른 CYP3A4 의 저해제 ( , 이트라코나졸 , 클래리스로마이신 ) 도 같은 작용을 하므로 같은 정도의 용량감소를 적용합니다 . 약한 저해제 ( , 에리스로마이신 , 자몽 주스 ) 의 경우는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 만약 CYP3A4 저해제를 병용투여에서 제외시킬 경우 , 이 약의 용량은 다시 증가시켜야만 합니다 .

( 생략 )

2) 이 약이 다른 약물에 미치는 영향

( 생략 )

항고혈압약제 :   아리피프라졸의 alpha- 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작용으로 인해 , 이 약은 특정 항고혈압약제의 효과를 증강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 약과 항고혈압약제 병용시 혈압 모니터링 및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

 

벤조디아제핀계열 ( , 로라제팜 ) : 진정의 정도는 아리피프라졸 단독투여시 보다 로라제팜과 병용시 더 강했습니다 . 기립성 저혈압은 로라제팜 단독투여시 보다 아리피프라졸과 병용시 더 많이 나타났습니다 . 이 약과 벤조디아제핀 병용시 진정과 혈압 모니터링을 해야 합니다 . 그에 따라 용량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

( 생략 )

 

7. 임부에 대한 투여

동물시험에서 , 아리피프라졸은 랫드 와 토끼에서 최기형성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발생학적 독성이 증명되었습니다 .

 

임신상태의 랫드 3, 10, 30 mg/kg[mg/m2 기준으로 사람 최대권장량 (MRHD : maximum recommended human dose) 1, 3, 10 배 용량 ] 의 아리피프라졸을 기관형성기에 경구투여 하였습니다 . 30mg/kg/day 에서 임신기간이 약간 연장되었습니다 . 태자체중감소 (30mg/kg/day), 잠복고환 ( 30mg/kg/day), 골격의 골화지연 (10, 30mg/kg/day) 으로 볼 때 , 태자의 발육이 조금 둔화되었습니다 . - 태자 생존률에는 영향이 없었습니다 . 출생자의 체중이 감소 (10, 30mg/kg/day) 되고 , 30mg/kg/day 투여에서 간횡경막 결절과 횡경막 탈장 등의 빈도가 증가하였습니다 ( 다른 용량에서는 이 시험을 하지 않았습니다 ). 30mg/kg/day 에서는 태자에서도 횡경막 탈장이 조금 나타났습니다 . 출생 후에도 10 30mg/kg/day 에서 질개구 ( vaginal opening ) 지연되었고 , 생식능력의 손상 ( 수태능 , 황체 , 착상수 , 태자생존율 감소 , 착상 후 손실의 증가 등 암컷자손에까지 미칠 수 있는 영향 ) 30mg/kg/day 에서 보여집니다 . 다른 모체독성이 30mg/kg/day 에서 관찰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발생상의 영향이 모체독성의 기인한 것이라는 증거는 없습니다 .

 

임신상태의 토끼에서 10, 30 100 mg/kg/day(AUC 기준으로 MRHD 2, 3 11 , mg/m2 기준으로 6, 19, 65 배 용량 ) 으로 기관형성기에 경구투여 하였습니다 . 100 mg/kg/day 투여 대상에서 모체의 사료섭취량이 감소하고 , 유산률이 증가하였습니다 . 태자 사망률 증가 (100 mg/kg/day), 태자 체중 감소 (30, 100 mg/kg/day) 와 비정상적인 골격근 ( 흉골 · 늑골의 접합 , 30, 100mg/kg/day), 약간의 골격근변종 (100 mg/kg/day) 이 있었습니다 .

 

3, 10, 30mg/kg/day(mg/m2 기준으로 MRHD 1, 3, 10 배 용량 ) 의 아리피프라졸을 분만 전후 ( 임신 전 17 일부터 분만 후 21 일 까지 ) 랫드 에 경구투여 했을 때 30mg/kg/day 에서 경미한 모체독성과 임신기간의 연장이 관찰되었습니다 . 그리고 사산의 증가 , 태자 체중감소 ( 성체가 될 때까지 지속 ) 와 생존률 감소 등이 나타났습니다 .

( 생략 )

 

9. 수유부에 대한 투여

아리피프라졸은 사람 에서 수유 중에 유즙으로 분비되었습니다 . 수유 중인 영아에게 아리피프라졸에 의한 중대한 이상반응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 산모에게 약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수유를 중지하거나 약물 복용을 중단할 것을 결정해야 합니다

( 생략 )

 

12. 과량 투여시 처치

1) 사람에서의 경험

임상시험 및 시판 후 경험에서 의도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아리피프라졸의 과량투여에 대한 이상반응이 전세계에서 보고되었습니다 . 이것은 아리피프라졸 단독 혹은 병용 투여시의 과량투여를 포함한 것입니다 . 사망은 보고된 바 없었습니다 .

최고량 복용했던 례로 , 아리피프라졸을 약 1, 260 mg 까지 ( 최대 일일 권장용량의 42 ) 가 있었고 , 환자는 완전히 회복되었습니다 . < 삭제 > 소아 (12 세 이하 ) 에 대한 의도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과량투여는 최대 195mg 까지 복용한 사례가 있었고 , 사망은 없었습니다 . 아리피프라졸을 단독 혹은 병용으로 과량복용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 ( 전체 과복용 사례 중 5% 이상에서 보고 ) 은 구토 , 졸림 , 떨림 이었습니다 . 아리피프라졸의 과용량 ( 단독 혹은 병용 ) 1 명 이상의 환자에서 나타난 임상적으로 중요한 징후나 증상은 산증 , 공격성 ,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 증가 , 심방세동 , 서맥 , 혼수 , 착란상태 , 경련 , 혈중 크레아틴인산활성 효소 증가 , 의식 저하 , 고혈압 , 저칼륨혈증 , 저혈압 , 기면 , 의식상실 , QRS 연장 , QT 연장 , 흡인성 폐렴 , 호흡 정지 , 간질중첩증 , 빈맥이 있었습니다 .

( 생략 )

 

13. 기타

1) 발암성 , 변이원성 , 수정능력 저하

(1) 발암성

ICR 마우스 및 SD(Sprague-Dawley) F344 랫드 를 대상으로 평생동안의 발암성 시험을 실시했습니다 . 2 년 동안 ICR 마우스를 1, 3, 10, 30 mg/kg/day 용량으로 , F344 랫드 에는 1, 3, 10mg/kg/day 용량으로 아리피프라졸을 경구 투여하였습니다 [mg/m2 기준으로 MRHD 의 각각 0.2 5 배 및 0.3 3 배 용량 ]. 또한 , SD 랫드 2 년 동안 10, 20, 40 60mg/kg/day(mg/m2 기준으로 MRHD 3 19 배 용량 ) 을 경구투여 하였습니다 . 아리피프라졸은 수컷 마우스나 랫드 에게 암을 유발하지 않았습니다 . ( 생략 ) 암컷 랫드 10mg/kg/day (AUC 를 기준으로 MRHD 0.1 , mg/m2 기준으로 MRHD 3 배 용량 ) 경구투여시 , 유선 섬유선종 발생이 증가했습니다 .

( 생략 ) 그러나 암컷 랫드 에서의 4 , 13 주간의 섭식 투여 (Dietary study) 에서 유선암과 연관 가능성이 있는 농도에서 혈장 프로락틴은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 ( 생략 )

 

(2) 변이원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 , 박테리아를 이용한 DNA 수복 시험 , 마우스 림포마 세포를 이용한 유전자돌연변이 시험 및 Chinese hamster lung(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 , 마우스를 이용한 체내 소핵시험 및 랫드 를 이용한 DNA 합성 시험을 통해 이 약의 변이원성에 관한 시험이 실시되었습니다 . ( 생략 )

 

(3) 수정능력 저하

암컷 랫드 에서 , 아리피프라졸을 2, 6, 20 mg/kg/day(mg/m2 기준으로 MRHD 0.6, 2, 6 배 용량 ) 을 교배 2 주전부터 임신 후 7 일까지 투여하였습니다 . ( 생략 )

 

2) 동물 독성

알비노 랫드 를 대상으로 아리피프라졸 60 mg/kg/day 26 주간 투여한 반복투여 독성시험과 40, 60 mg/kg/day(mg/m2 기준으로 MRHD 13, 19 , AUC 를 기준으로 MRHD 7, 14 배 용량 ) 2 년간 투여한 발암성시험에서 망막변성이 나타났습니다 . ( 생략 )


사이트이용안내

61453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65 조선대학교병원
Copyright 2015 Chosun Universtiy Department Pharmac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