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 |||
---|---|---|---|
첫 단계인 생활습관 및 식사습관의 변경과 제산제의 사용은, 식후에 바로 눕는 것을 피하고 취침시는 머리를 15cm에서 20cm 정도 올리도록 베개를 높게 베는 것이다. 그리고 배에 눌리는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속옷이나 허리끈을 단단히 조이지 않고 유연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음식물의 조절로는 단백질의 섭취가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증가시키므로 도움이 되고 지방이 많은 음식은 괄약근의 압력을 저하시키고 위배출을 지연시키므로 고단백 저지방 음식이 추천된다. 흡연과 음주는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식도 점막의 저항을 떨어뜨리고 위산 분비물이 소장으로 배출되는 것을 지연시키고 위산의 분비를 증가시켜 역류를 조장하므로 피하여야 한다. 또한 비만한 사람의 경우는 체중의 감소가 필요하며 과식이나 초코렛, 커피, 박하등의 자극성 있는 음식물 섭취는 괄약근의 긴장도를 저하 시켜 역류를 촉진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수술적인 치료는 복부식도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위와 식도가 이루는 각도를 재형성하여 역류를 막아주고 하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을 증가시키고자 시행하게 된다. <피해야 할 사항> <지켜야 할 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