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중심의 자연친화적 글로벌 병원 조선대학교병원은 더욱 질 높은 의료서비스로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건강백과

정신과 - 수능직후 수험생심리

글 상세보기
첨부파일

◆ 정신과 건강칼럼-수능시험 직후 수험생 심리

수학능력시험을 끝낸 수험생의 심리,
그리고 그들에게 주는 권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능력평가가 매년 초겨울쯤에 치러진다. 시험에 응시한 학생들에게는 지난 3년간 아니 초등학교부터 12년간 학창시절의 노력에 대한 결과의 평가이다. 또 이 결과가 그 혹은 그녀가 앞으로 어떤 학교에 가서 자신의 미래를 설계할 것인가 선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수학능력평가는 그 학생만의 일은 아니다. 우리사회는 온 나라가 함께 앓는 홍역을 연상케 한다. 출근시간을 조정하고 비행기의 이착륙을 제한하고 지나는 자동차의 경적을 울리지 말라고 해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잘 협조한다. 시험 전날 수많은 가족 친지들의 격려 와 염려, 전화, 선물, 그리고 아이가 영향을 받을까 염려되는 자극들을 최대한 막아주려는 부모나 가족들의 가슴 졸이는 배려는 초조한 마음 쓰임이 당사자 보다 오히려 더하면 더 했지 못하지는 않으리라. 학교의 선생님들 역시 자신의 학생들이 일류대학을 몇 명이 들어가느냐에 대해서 평가를 받는다면 힘든 일이다. 시험 당일 아침에 시험장의 교문 앞에서 후배들이 벌리는 다양한 형태의 응원 전은 방송국의 카메라에 보이는 그 모습만으로도 그 열기를 짐작할 수 있다. 전쟁이다. 입시지옥이다.

시험이 끝난 뒤 수험생이 느끼는 감정은 어떨까? 여러 가지 감정이 동시에 작용한다. 예를들면 후련하다, 해방감을 느끼고 이제는 마음대로 하고 싶은 일을 할 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 이제까지 금지되었던 것들을 나도 하고 싶다. 다른 한편으로는 죽도록 노력했는데 겨우 이건가 허탈하다. 이것도 하고 싶고 저것도 하고 싶고 할 일이 많았는데 막상 끝나고 나니 아무 것도 못하겠다. 시험을 잘 못 치른 것 같은 아이들은 결과가 두렵고, 그 결과에 따라 바라던 학교에 갈 수 없는 아이들은 우울해지고 자기혐오감에 빠지기도 한다. 나는 왜 이럴까 어머니 얼굴을 어떻게 보나? 나 같은 인간은 죽어야 해. 또 기계처럼 짜여진 생활에서 갑자기 할 일이 없어지면 방황하게 된다. 이쪽 저쪽 기웃거려보고 서툰 어른 행세를 해보기도 한다. 심심한데 뭔가 자극적이고 화끈한 것은 없을까 어둠 속의 반짝이는 불빛을 찾기도 한다.
학부모 입장에서도 시험이 끝나기 전에는 왕자나 공주처럼 받들다가 갑자기 결과에 따라 대하는 것이 달라진다. 밥 먹는 시중까지도 들어주다가 이제 설거지까지 시킨다나. 시험 전까지는 할 말도 못하고 참아주다가 결과에 따라 예전 것까지 몰아서 폭발시키는 부모들이 많다.
수능시험 직전에 학생들에게 선생님이 이런 농담을 했다고 한다. 아빠에게 용돈을 타려거든 시험 전에 미리 타 둬라. 수능시험이 끝나고 분위기 파악 못하고 돈 달라고 했다가 맞아서 입원한(?) 아이들을 나 여럿 봤다며 농담을 했다는 데 아이들이나 그 소리를 들은 학부모도 공감하는 날카로운 우스개 소리였다. 시험이 끝나고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그래도 아직은 낫다 그 시간이라도 즐기고 싶고 그것을 허용하고 싶다.

시험장에서 집에 돌아온 여자아이에게 기분을 물었더니 이렇게 말한다. 시험을 치르고 난 뒤 너무 허전해서 한없이 무작정 걷고 싶더라. 아무와도 이야기하고 싶지 않으면서 한편으로는 누군가에게 정신없이 수다스럽게 지껄이고 싶기도 하다. 또 어떤 친구는 다리를 건너면서 뛰어내리고 싶다고 말해 보기도 하고, 위로 받고 싶고, 억지를 부리고도 싶다.
이제 이 시험으로 모든 것이 끝난 것처럼 누구도 나에게 간섭하거나 격려를 해주지도 않을 것 같아 졸업하기 전이지만 학생 때가 좋았다고 말하고 싶다. 수능시험을 보기 전에는 그래도 같은 조건이라고 취급되었는데, 결과가 나오면 누구는 상위권대학, 누구는 중위권, 또 어떤 이는 4년 제 대학은 어렵다던 지 집단별로 나뉘게 된다. 그래서 그들을 대하는 부모 친지들의 태도도 달라지고, 본인의 기가 살고, 죽고도 이에 따라 결정된다.

수능시험이 끝난 것이 모두가 끝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논술을 준비해야 하는 학교도 있고, 이제 인생이란 긴 여정에서 단지 한 이정표를 지났을 뿐이다. 지금 수능을 끝낸 학생들에게 몇 가지 권고한다면 이렇게 말하고 싶다. 우선 대학 선택은 앞날을 고려하라. 여러분이 적극적 활동을 할 시기는 적어도 10년 뒤 혹은 20년 뒤라는 생각을 하라.
그리고 남은 고교시절은 이렇게 보내라.
1. 새로운 일을 시작하라. 시켜서 하는 억지 공부가 아니라. 그 일을 하면 서는 밤을 세워도 피곤할 것 같지 않고 즐겁기만 할, 지긋지긋한 시험 때문에 못 배웠던 일들을 시작해 보라.
2. 규칙적인 생활을 하라. 자신의 익숙한 생활 리듬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3. 밝은 곳을 찾아라. 유혹이나 탈선은 어두운 곳에서 시작된다.
4. 어른 흉내를 내기보다. 주어진 청소년기를 철저히 만끽하라.
5. 교양을 쌓아라. 고전을 비롯한 책들을 가까이 하라.
6. 체력향상을 위해 노력하라.
7. 미래의 외국여행을 준비하라. 외국어공부도 무작정 하려면 어려우나 필요해서 하면 적극적이 된다.
8. 잠자는 곳이 일정해야 한다. 자기 주어진 처소가 아닌 곳에서 잠자는 일이 자주 있으면 문제아가 되는 준비 단계다. 그래서 부모의 강압에 의해서라도 통행 금지시간(책임 귀가시간)을 지켜야 한다.
9. 가족과 함께 대화하는 시간을 마련하고 집안어른을 찾아 뵈어라. 시골 할머니 집이라도 주말에는 갈 계획을 세우라.
10. 음악을 들어라. 정서를 순화시키는 좋은 음악을 듣는 것이 좋다.
11. 충분한 휴식, 이것도 저것도 싫어지면 잠자는 것도 좋다.

부모들은 지금부터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시기임을 명심해야 한다, 말하기보다 자녀의 이야기를 인내하며 들어주는 노력이 문제해결과 예방의 지름길이다. 입은 말하고, 숨쉬고, 노래하고, 사랑을 나누는데도 쓰이지만 하나면 충분하다. 귀는 듣는 역할 만 하는데도 양쪽에 두 개가 필요해서 있다면 말하기보다 몇 배나 많은 노력을 잘 듣는 훈련에 쏟아야 한다. 귀는 속으로는 균형을 잡는 기관이니 듣되 양쪽의 다른 의견이라도 기울여 듣고 눈 뒤에서 하는 소리는 모르는 척 듣지 마라고 구멍은 앞으로 만 나 있는 지도 모른다. 애정 어린 응원은 지금 필요하다.
딸아 그리고 아들아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