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약물의 안전한 사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약물유해반응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대처해야 하는 의료인의 역할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포괄적 약물감시체계를 구축하고 약물유해반응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보고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 약물유해반응 평가 소위원회를 소속기관 산하 병원과 지역에 구성하여 기존 평가 기준들을 이용, 약물 부작용 신고를 활성화하고 안전한 약물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역의약품안전센터를 전국 27개 지역에 설치하였습니다. 조선대학교 병원은 2011년 지역의약품안전센터로 지정되어 병원뿐만 아니라 광주를 포함한 전라남도지역의 약물이상반응 감시활동을 활발히 전개할 예정입니다.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서는 지역 거점으로서 병원 내 약물유해반응을 사례의 체계적 수집과 평가 및 예방을 위한 업무 처리절차를 마련하여 의약품의 효능 및 안전성에 관한 정보가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에게 신속하게 제공되는 사업을 시행합니다. 그리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약물유해반응 개념을 교육하고 올바를 복약지도를 상담함으로서 안전한 투약으로 환자-의료인간의 신뢰를 구축하는데 기여하여 지역사회의 의료소비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선대학교병원 지역의약품안전센터는 의약품의 사용으로 부득이하게 발생하는 유해사례 등에 대하여 우리의 인식을 새롭게 환기시킴으로써 올바른 의약품 사용을 정착시키는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약물의 유해작용 또는 약물관련 문제의 탐지·평가·해석·예방에 관한 과학적 연구 및 활동을 말합니다. (CIOMS VI, ICH E2E, WHO) 약물감시는 "약"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Pharmakon과 "계속 깨어 있으면서 지켜보고 경계한다"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한 합성어입니다. 약물감시는 의약품의 안전성정보 수집에서부터 위해 관리에 이르기까지 의약품의 전 주기를 거쳐서 이어지는 활동입니다.
의약품등을 정상적인 용법에 따라 투여한 경우 발생하는 모든 의도되지 않은 효과를 말하며, 의도되지 않은 바람직한 효과를 포함합니다.
의약품등의 투여·사용 중 발생한 바람직하지 않고 의도되지 않은 징후(sign, 예 ; 실험실적 검사치의 이상), 증상(symptom) 또는 질병을 말하며, 당해 의약품등과 반드시 인과관계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의약품등을 정상적인 용법에 따라 투여·사용 중 발생한 유해하고 의도하지 않은 반응으로서 해당 의약품등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자발적으로 보고된 유해사례 중에서 의약품등과의 인과관계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약물유해반응으로 간주합니다.
실마리정보란 시판 후 자발적 유해사례 보고자료 등을 대상으로 데이터마이닝을 시행하여 도출된 정보로서, 약물과 인과관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정보를 말합니다.
약물 투여 후 환자에게 이상사례가 발생하면 병.의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 및 조치하여 주시고, 발생한 이상사례에 대해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소비자원에서 피해보상관련 상담등 필요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